> 평판지수소식 >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 대기업집단 브랜드 2025년 6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LG, 2위 한화, 3위 현대자동차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5-06-07 19:21

본문

f50674f87f51dd916fe69e8b8c6ecaca_1749291699_0402.jpg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2025년 6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LG 2위 한화 3위 현대차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5년 5월 9일부터 2025년 6월 9일까지의 66개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96,799,216개를 분석하여 대기업집단의 미디어, 소통, 커뮤니티, 사회공헌, 소비자지수, ESG를 분석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측정하였다. 지난 5월 브랜드 빅데이터 117,812,365개와 비교하면 17.84% 줄어들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분석을 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소셜가치, 사회가치로 분류하고 가중치를 두어 나온 지표이다. 브랜드 평판분석을 통해 브랜드에 대해 누가,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왜, 이야기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에서는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 소비자지수, ESG지수로 브랜드평판지수를 분석하였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분석한 66개 대기업집단 브랜드평가에는 사회공헌지표와 소비자지표, ESG지표를 중심으로 정성적인 평가를 강화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오너 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f50674f87f51dd916fe69e8b8c6ecaca_1749291705_64.jpg
 


2025년 6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LG, 한화, 현대자동차, 롯데, 삼성, 쿠팡, 네이버, 신세계, 농협, 미래에셋, 동원, 두산, HD현대중공업, CJ, KT, 포스코, GS, 한국투자금융, 한진, LS, 이랜드, 효성, 한라, 넥슨, 교보생명보험, 한국타이어, 코오롱, 카카오, 대우건설, 대림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LG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2,658,752 소통지수 2,756,722 커뮤니티지수 2,565,578 사회공헌지수 43,091 소비자지수 381,827 ESG지수 129,87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535,844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6,913,204와 비교해보면 23.47% 상승했다.​

2위, 한화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852,200 소통지수 2,084,839 커뮤니티지수 2,404,412 사회공헌지수 35,565 소비자지수 411,840 ESG지수 83,95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872,812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9,405,403과 비교해보면 26.93% 하락했다.​

3위, 현대자동차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728,981 소통지수 1,939,736 커뮤니티지수 2,003,864 사회공헌지수 74,944 소비자지수 646,763 ESG지수 109,59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503,882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6,412,752와 비교해보면 1.42% 상승했다.​

4위, 롯데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440,292 소통지수 1,727,675 커뮤니티지수 1,891,494 사회공헌지수 54,915 소비자지수 582,117 ESG지수 133,08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829,573으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8,872,478과 비교해보면 34.30% 하락했다.​

5위, 삼성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251,846 소통지수 2,029,702 커뮤니티지수 1,340,197 사회공헌지수 24,068 소비자지수 937,970 ESG지수 222,20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805,984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8,120,095와 비교해보면 28.50% 하락했다.​

f50674f87f51dd916fe69e8b8c6ecaca_1749291712_6285.jpg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대기업 집단 브랜드평판 2025년 6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LG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대기업 집단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5월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17,812,365개와 비교하면 17.84%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이슈 5.76% 하락, 브랜드소통 22.00% 하락, 브랜드확산 27.22% 하락, 브랜드공헌 7.00% 상승, 브랜드소비 5.44% 상승, ESG지수 22.36%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 소장 구창환 )는 브랜드평판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브랜드 빅데이터를 소비자행동으로 세분화하여 브랜드 평판지수를 파악했다. 이번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66개 대기업집단에 대해서 2025년 5월 9일부터 2025년 6월 9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2025년 6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을 분석한 대기업집단 브랜드는 LG, 한화, 현대자동차, 롯데, 삼성, 쿠팡, 네이버, 신세계, 농협, 미래에셋, 동원, 두산, HD현대중공업, CJ, KT, 포스코, GS, 한국투자금융, 한진, LS, 이랜드, 효성, 한라, 넥슨, 교보생명보험, 한국타이어, 코오롱, 카카오, 대우건설, 대림, KCC, 현대백화점, 넷마블, 셀트리온, 아모레퍼시픽, DB, KT & G, 한국항공우주산업, 부영, 영풍, SM, 한국 GM, HDC현대산업개발, 한솔, 애경, 메리츠금융, 하림, 하이트진로, 호반건설, OCI, 태광, 삼천리, 현대해상화재보험, SK, 세아, 대방건설, 금호석유화학, 에쓰 오일, 유진, 동국제강, HJ중공업, 중흥건설, 다우키움, 태영, 반도홀딩스, 엠디엠 이다.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