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판지수소식 > 기업 브랜드평판지수

기업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2023년 7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2위 셀트리온, 3위 SK…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3-07-17 07:14

본문

fd55544c59d08d2d6c419af2d21987f4_1689545612_4131.jpg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7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2위 셀트리온 3위 SK바이오사이언스 순으로 분석되었다. ​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3년 6월 17일부터 2023년 7월 17일까지의 134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8,689,045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 분석을 하였다. 지난 6월 브랜드 빅데이터 62,370,665개와 비교하면 10.13%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하였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를 측정할 수 있다. 브랜드의 마케팅 시장지표 분석과 정성평가를 포함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fd55544c59d08d2d6c419af2d21987f4_1689545624_1612.jpg
 

2023년 7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헬스케어, SK바이오팜, HLB, 한미약품, 유한양행, 셀트리온제약, 종근당, 대웅제약, 한미사이언스, 신풍제약, 녹십자, 동국제약, 에스티팜, 박셀바이오, 일동제약, 동화약품, 삼천당제약, 보령제약, 삼성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대웅, HLB생명과학, 광동제약, 휴온스글로벌, 제일약품, 대원제약, 동아에스티 순으로 분석되었다.

​​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256,942 소통지수 468,221 커뮤니티지수 571,866 시장지수 10,801,86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098,894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13,522,513과 비교해보면 10.53% 하락했다.​

2위, 셀트리온 브랜드는 참여지수 204,642 소통지수 198,332 커뮤니티지수 158,251 시장지수 4,517,51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078,742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5,235,323과 비교해보면 2.99% 하락했다.​

3위, SK바이오사이언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418,991 소통지수 444,251 커뮤니티지수 416,781 시장지수 1,183,96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463,988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2,783,296과 비교해보면 11.47% 하락했다.​

4위, 셀트리온헬스케어 브랜드는 참여지수 90,570 소통지수 144,237 커뮤니티지수 107,669 시장지수 2,106,58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449,062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2,671,526과 비교해보면 8.33% 하락했다.​

5위, SK바이오팜 브랜드는 참여지수 166,766 소통지수 175,019 커뮤니티지수 296,439 시장지수 1,226,56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864,784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1,684,169와 비교해보면 10.72% 상승했다.​

fd55544c59d08d2d6c419af2d21987f4_1689545637_2923.jpg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7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삼성바이오로직스 ( 대표 존림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6월 브랜드 빅데이터 62,370,665개와 비교하면 10.13%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34% 하락, 브랜드이슈 137.41% 상승, 브랜드소통 10.15% 상승, 브랜드확산 8.32%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 소장 구창환 ) 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2023년 7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지수는 2023년 6월 17일부터 2023년 7월 17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2023년 7월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헬스케어, SK바이오팜, HLB, 한미약품, 유한양행, 셀트리온제약, 종근당, 대웅제약, 한미사이언스, 신풍제약, 녹십자, 동국제약, 에스티팜, 박셀바이오, 일동제약, 동화약품, 삼천당제약, 보령제약, 삼성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대웅, HLB생명과학, 광동제약, 휴온스글로벌, 제일약품, 대원제약, 동아에스티, HK이노엔, 경보제약, 한국파마, 유나이티드제약, 압타바이오, 프롬바이오, 바이오플러스, 삼진제약, HLB제약, 현대약품, 티움바이오, 씨티씨바이오, 휴온스, 부광약품, 경동제약, 대화제약, 종근당바이오, 뉴트리, 조아제약, 일양약품, 명문제약, 이연제약, JW중외제약, 신일제약, 삼아제약, 영진약품, 고려제약, 대한뉴팜, 비보존제약, 유유제약, 코미팜, 대성미생물, 동성제약, CMG제약, 동구바이오제약, 코오롱생명과학, 삼일제약, 하이텍팜, 차백신연구소, 중앙백신,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환인제약, 국제약품, 드림씨아이에스, 경남제약, 신신제약, 지놈앤컴퍼니, JW신약, 바이넥스, 한독, 메드팩토, 위더스제약, 하나제약, 진양제약, 화일약품, 콜마비앤에이치, 알리코제약, 국전약품, 이수앱지스, 에이디엠코리아, 안국약품, 휴메딕스, JW생명과학, 녹십자웰빙, 제일바이오, 일성신약,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에스씨엠생명과학, 네오이뮨텍, 엔지켐생명과학, 팜젠사이언스, 바이젠셀, 더메디팜, 에이치엘사이언스, 에스텍파마, 서울제약, 아이큐어, 안트로젠, 퓨쳐켐, 진바이오텍, 우진비앤지, 테라젠이텍스, 아미노로직스, 대한약품, 큐라클, 한국유니온제약, 노바렉스, 씨엔알리서치, 휴럼, 카이노스메드, 에이비온, 비씨월드제약, 그린생명과학, 코스맥스엔비티,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대봉엘에스, 비피도, 지트리비앤티, 에이프로젠H&G, 비엘팜텍, 코스맥스비티아이, 씨케이에이치, 팜스빌, 더블유에스아이 이다.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